728x90
반응형

‘업(業)’과 ‘에세이’ 106

2024년 1월 회고

2024년이 시작하고 벌써 1월이 다 지나갔네요. 1월 회고를 간단히 해보고자 합니다. 1월은 저에게 많은 도전과 변화의 시간이었습니다. 1. 성장은 단순히 보람만 주지 않습니다. 1월에 시작한 강연은 배운 것을 나눠주자라고 결심했던 것을 이루게 해주었습니다. 아주 작은 시도이고 이제 시작이지만 뿌듯했고 보람찼습니다. 이를 계기로 시작이 반이라는 것을 잊지 않고자 합니다. 또한 저에게 성장과 새로운 도전을 가져다 주었습니다. 잘 알고 있다, 전문성이 있다 생각했던 부분이 단순히 익숙한 것임을 알게 되었고 이를 극복하고자 새로운 것에 도전할 힘을 주었습니다. 매달 1시간 30분 정도 PRD, Tech Spec 등 현업에서 사용하는 문서들을 소개하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또한 2달 단위로 ..

리더와 실무진을 설득하는 PRD

안녕하세요! ​ 올해부터 PO/PM/서비스기획자 분들을 대상으로 여러 세션을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그 첫 번째 시작인 PRD 세션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PRD는 Product Requirement Document로 우리가 이 아이템을 왜 해야하는지, 한다면 어떠한 결과를 예상할 수 있는지 작성하는 요구사항 정의서입니다. PRD는 단순히 요구사항 정의를 넘어 같이 일하는 사람들에게 동일한 목표를 바라볼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커리어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 ​이번 특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들: 1. ​PRD의 기본 구조 및 필수 요소 이해 2. 명확하고 설득력 있는 PRD 작성 기법 3. 리더 및 실무진과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 4. 실제 사..

Today I Learned #20 (24.01.16) - 제품 전략, 비전 및 로드맵

Week 71 - Product Strategy, Vision and Roadmap Quote “Feedback is the breakfast of champions”. -Ken Blanchard Poll 💯 Framework - Product Strategy, Vision and Roadmaps 💡 Did you ever wonder how does Product Strategy, Vision, Mission and roadmaps for products sit togetherThanks for reading The sidsaladi.substack.com 오늘 본 내용 비전은 제품을 만드는 궁극적인 이유를 설명합니다. 제품 전략은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무엇을 만들고 있는지 설명합니다. 제품 로드맵은 ..

2023년 11월 2주차 회고 - 말랑말랑한 사고

회사 동료와 이야기 나누다가 우연히 “말랑말랑한 사고가 뭐가 도움되는데? 우리 회사는 다른 IT 스타트업처럼 못 해. 그게 하면 어떻게 성과를 달성하는데? 그런 거 안해도 이 필드에서 이 정도면 좋은 회사야.” 란 말을 듣게 되었습니다. 이 말을 듣고 좋은 회사의 기준은 무엇일까? 라는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많은 회사를 이직하면서 나름 다양한 조직 문화를 경험했습니다. 그러면서 어떤 조직이든 소위 말랑말랑한 사고를 하는 조직이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성장 뿐만 아니라 개인과 조직의 성과 측면에서도 말랑말랑한 사고를 하는 조직이 더 높은 성과를 내었습니다. 왜 그럴까요? 명확하게 말랑말랑한 사고 즉, 유연한 사고를 가진다고 해서 성장과 성과를 100%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 말랑말랑한..

[PMC 1week 후기] 무엇을 하고 싶은지 명확히 하자

안정적인 것들을 포기할 수 있을까? 제가 대학교 졸업할 때까지만 하더라도 창업하면 자영업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저 또한 다른 사람들처럼 대기업에 입사하는 것을 목표로 학과 수업에 집중하였고 목표가 무엇이냐 물어봤을때 대기업 입사해서 안정적으로 회사 생활하며, 임원까지 올라가는 것이라 대답했었습니다. 제 사업을 하고 싶단 생각을 가지리라 꿈에도 생각을 못했습니다. 그러던 도중 우연한 기회로 2년 동안 인도네시아에 해외 봉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하루하루가 미션 같았던 한국 생활을 떠나 인도네시아에서 생활해보니 제가 가진 것이 많았단 것을 알았고, 이를 사회에 환원해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당시 한국에서는 왓챠, 배달의 민족 등의 IT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창업이 시작되었고 저 또한 IT 서비스를 기..

[번역] Week 62 - 📄 Guide to Product Requirements Documents + Free Templates

원문 바로가기 62주차 - 📄 제품 요구 사항 문서 가이드 + 무료 템플릿 "좋은 제품은 문제를 해결하고, 훌륭한 제품은 우아하고 유쾌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합니다." - 스티브 잡스 💯 프레임워크 // 개념 // 멘탈 모델 효과적인 제품 요구사항 문서 작성을 위한 완벽한 가이드 📄 제품 관리자의 가장 중요한 책임 중 하나는 포괄적인 제품 요구 사항을 정의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해 관계자를 명확하게 조율하는 방식으로 정의하려면 신중한 계획과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합니다. 이때 상세한 제품 요구사항 문서(PRD)를 작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포괄적인 글에서는 제품 개발을 주도하는 훌륭한 PRD를 작성하기 위해 PM으로서 알아야 할 모든 것을 자세히 살펴봅니다. 🚀 PRD의 간략한 역사 📜 PRD는 ..

2023년 10월 3주차 회고 - 제품으로 가져야 할 기준

제품이란 무엇일까요? 제품이란 무엇일까요? IT 회사에서, 제조회사에서 나름 오랫동안 일했다 생각하지만 항상 이 질문에 명확한 답을 내리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제품이란 사전적 의미로는 자연이나 인공의 공정에 의해서 생산된 유형의 물건이나 사물의 실체를 말합니다. 학부 때 배운 시스템공학에서는 제품(Product)은 이해당사자(stakeholder)인 개발자, 생산자, 고객, 사용자, 소유자, 용역제공자의 요구를 충족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 합니다. 결국 제품이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앱이다, 웹이다의 형태 분류보다는 어떠한 형태도 가질 수 있음을 인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제품이 가져야 할 기준은 무엇일까요? 제품으로 가져야 할 기준은 무엇일까요? ‎..

Today I Learned #19 (23.09.18) - 프로젝트에서 제품까지

프로젝트 중심 모델과 프로덕트 중심 모델의 차이 From Projects to Products | Silicon Valley Product Group A partnership dedicated to teaching best practices to product teams and product leaders www.svpg.com 프로젝트 중심 모델 목적 일반적으로 특정 날짜까지 특정 결과물을 제공해야 하는 대규모의 느리고 비용이 많이 드는 경우 시도합니다. 시장 출시 기간 단축을 목표로 합니다. 단점 필요한 결과를 얻기까지 이전 반복에서 얻은 학습을 바탕으로 여러 번의 반복이 필요하지만, 첫 번째 시도 이상으로 자금을 지원받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지원받는다고 해도 보통 몇 분기 후에나 가능합니다. 사람..

2023년 9월 1주차 회고 - Tech Spec을 작성해야 하는 이유

23년 9월 1주차 회고 Tech Spec‎을 작성해야 하는 이유 여러 IT 회사를 다니면서 회고 때 항상 언급되는 이슈가 있는데 바로 기획에서 개발로 넘어가는 그 중간 애매한 부분에 대해 고충을 토로하는 분들이 많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PO/PM/서비스 기획자들이 기획안을 다 설명했는데 개발팀이 개발을 안하고 있어서 일정이 미뤄진다는 이야기 혹은 기획안을 보았는데 이건 뭐를 만들어 달라는 것인지 모르겠다는 개발팀 이야기, 검증을 해야하는데 이걸 어떻게 개발하겠다는건지 모르겠다는 검증팀 이야기 등입니다. 정말 많은 회사를 다녀보았지만 딱 한 군데 빼고는 이 이슈가 없었던 회사는 없었습니다. 왜 이러한 이슈가 발생하는 것일까요? 개발자 출신의 PM/PO인 제가 보았을 때는 바로 명확한 기획안 리뷰가 진..

2023년 8월 5주차 회고 - PRD를 작성해야 하는 이유

23년 8월 5주차 회고 - ‎PRD (‎Product Requirement Document)를 작성해야 하는 이유 처음 Product Management로 일할 때만 하더라도 기능 위주의 기획을 중심으로 업무했던 것 같습니다. 그 때만 하더라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이 많이 부족했기 때문에 고객 중심으로, 고객의 패턴을 통해 해결책을 찾는 방식보다는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들 중 해결책을 찾았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데이터를 쉽게 수집할 수 있게 되면서 고객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어떻게 해결할지 진행하는 방식으로 많이 바뀌고 있습니다. 또한 과거에는 완성도 있는 제품을 한 번에 만들어 시장에 내보내는 전략을 많이 취했는데 요즘은 불완전하더라도 빠르게 출시하고 지속적으로 수정해나가는 전략을 취합니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