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업(業)’과 ‘에세이’/PO, PM로 성장하기 6

Netflix의 리텐션 수치 아세요?

Retention이 중요하다는 것만 이야기하지 보통 업계 통상 얼마 나와야 한다는 것은 정확히 모를 거예요. Lenny’s Newsletter의 2020년 1월 내용을 참고하면, Netflix의 경우 약 12개월 고객 유지율이 66%된다고 합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20명의 성장 전문가들이 참여해 산업별로 Good retention과 Great retention의 기준을 제시한 Lenny’s Newsletter의 2020년 1월 내용을 읽고 느낀 점을 작성했습니다. 🟢 Retention(유지율)의 중요성높은 retention은 Product-Market Fit을 보여주는 가장 강력한 지표입니다. 산업별 GOOD & GREAT RetentionConsumer social : GOOD: 25% 🔺, G..

리더십도 1승이 필요하다.

네 장점이 무엇인지 알아?단점과 장점은 동전의 양면 같은 거야. 네 단점이 없어지면 장점도 없어지는 거야. 연말을 맞아 평소 보고 싶었던 영화 을 보게 되었어요. 영화는 제 취향에 딱 맞는 유쾌한 개그 코드로 가득 차 있어서 웃다 보니 시간이 금방 지나갔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은 감독이 선수들에게 매번 장점과 단점을 물으며 변화를 만들어가는 장면이었어요. 이 장면은 단순한 스포츠 영화의 한 장면을 넘어, 제게도 많은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었습니다.올해 제가 가장 잘한 일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망설임 없이 애자일 코치 자격증을 취득한 것이라고 말할 것 같아요. 자격증 자체가 중요한 건 아니었어요. 과정에서 다른 애자일 코치분들과 함께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실제 현업에 어떻게 적용할 수 ..

24년 12월 1주차. 주인공 (주간 인사이트 공유)

이번주 읽은 내용Product1. 고객 중심 사고로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누가 읽으면 좋을까? 조직의 리더 및 제품 개발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왜 읽어봐야 할까?이 글은 제품 개발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인 고객 중심 사고와 조직 정렬, 외부 리소스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제품 개발 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실패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례와 전략을 제시합니다. 따라서 제품 개발에 관련된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꼭 읽어볼 내용보통 제품을 잘 만드는 것은 PM이나 PO의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이 글은 모든 팀이 함께 고객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각 팀이 같은 목표와 우선순위를 가지고, 자기 역할에서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그래서 고객을 이해하려..

24년 11월 4주차. 주인공 (주간 인사이트 공유)

이번주 읽은 내용Product1. 가치에 집중하는 PM이 성공하는 이유 누가 읽으면 좋을까? 여러 부서의 의견을 조율해야 하는 조직의 PM/PO 또는 B2B 회사의 PM/PO.왜 읽어봐야 할까?Sponsor(유관 부서나 리더)가 고객 및 시장과 소통하는 방법을 설명하며, Sponsor와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PM/PO가 시장과 고객에 접근해 성공적인 제품을 만드는 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꼭 읽어볼 내용PM은 단순한 관리자가 아니라 팀과 사용자, 비즈니스를 연결하는 핵심 역할 2. 고객이 우리에게 무조건 지불하게 해야 하는 3가지누가 읽으면 좋을까? 스타트업 창업자, PM/PO 등 제품 기획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왜 읽어봐야 할까?영리 목적의 기업에서 사업 모델 확장은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단순히 유료화..

우리 모두는 백승수 단장을 꿈꿔야 합니다.

이 드라마가 벌써 5년 전 드라마라니 시간이 참 빠르네요. 이 드라마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이유는 배우들의 연기도 좋았고 내용도 좋았겠지만 “백승수”라는 캐릭터가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주었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백승수” 캐릭터가 인기 있었던 이유는 할 말 다하는 강강약약의 사이다형 히어로였기 때문입니다. “백승수” 단장은 단순히 무대포의 강강약약이 아니라 본인의 위치와 능력을 명확히 알았습니다. 본인의 위치와 능력을 기반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당당히 어떤 것을 요구할 수 있는지, 어떤 것을 해줘야 하는지 명확히 판단하여 사람을 상대하는 방법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더 나아가 언제 떠나야 할지도 명확히 알았습니다. 야구선수들 vs 코치들 간 불화, 구단주/사장 vs 직원들 간의 불화, 이 모든 불화 ..

우리 팀 소화력을 알고 있나요? (1편)

소화력을 측정하는 것은 최소 7년 이상의 PM/PO 경험이 있는 분들에게만 추천드립니다. 사수나 멘토, 코치가 없이 글만 읽고 무작정 따라하거나 시도해보려고 하지 마세요. 회사는 테스트베드가 아닙니다. 개발자 A : 어떨 때는 너무 간단한 일을 줘서 할 게 금방 없어지고.. 또 어떨 때는 엄청 큰 일을 타이트한 일정으로 해달라하고..도저히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하는지 어렵네요...디자이너 B : 하루 하루 일에 치여서 이직을 해야 할 것 같아요.. 팀의 소화력을 알면 무엇이 좋나요?  기존에 있는 회의록을 읽는 것? 구성원들의 성향을 파악하는 것? 등등 여러 가지 일들이 있겠지만 제가 꼭 빼놓지 않고 하는 일은 바로 팀의 소화력를 측정해보는 것입니다. 소화량이란 말을 처음 들어보실텐데요. 이는 우리 팀이 ..

728x90
반응형